Computer Science/Network
-
[Network] Stateful (상태유지) 와 Stateless (무상태) 차이Computer Science/Network 2025. 6. 3. 21:11
📌 목차 ◦ Stateful (상태유지) ◦ Stateless (무상태) ◦ Stateful (상태유지) 와 Stateless (무상태) 의 차이점 📌 Stateful (상태유지) ⚡ Stateful (상태유지) 의 의미'상태 유지'라는 것은 Client 와 Server 의 관계에서 Server 가 Client 의 상태를 보존하는 것을 의미한다.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는 단계별 과정을 진행하는데 있어,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이전 단계의 정보를 저장한 상태를 말한다. 대표적으로 홈페이지에서 한 번 로그인을 하면 페이지를 이동해도 다시 로그인할 필요없이 계속 로그인 된 정보가 유지되는 것이다.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, 즉 기억하고 있으니 가능한 것이다.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기억한다는 ..
-
[Network] RESTful API 그리고 HTTP Method ( GET / POST / PATCH / DELETE 등 ) 정리Computer Science/Network 2025. 5. 31. 16:02
📌 목차 RESTful API 란 ?HTTP Method 정리▪ GET / POST / PUT / PATCH / DELETE / HEAD / TRACE / OPTION 📌 RESTful API REST 란,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로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. • HTTP URI ( Uniform Resource Identifier )를 통해 자원 ( Resource )을 명시한다.• HTTP Method 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. ⚡ REST 구성 요소 ◾ 자원 ( Resource ) : HTTP URI - Client 는 URI 를 통해 자원을 전달하고, Ser..